Collection.sort() vs Arrays.sort() vs. Counting sort 성능을 비교해보자
아래의 백준 10989번 코드는 문제 없이 작동한다. 하지만 제출을 했을 때 메모리 초과가 떴다.
1 |
|
이유는 ArrayList로 수를 저장하고, 그 후에 정렬하는 과정에서 메모리 사용량이 많아졌기 때문이다. 어떻게 하면 메모리 사용량을 더 줄일 수 있을까?
이 문제에서는 데이터의 크기가 정확하게 주어지기 때문에, 고정 크기일 때 리스트보다 효율적인 배열을 사용할 수 있다(배열은 고정 크기의 메모리만 사용한다).
그래서 Collections.sort()
대신 Arrays.sort()
를 사용하여 배열을 정렬하면 더 적은 메모리로도 결과값을 얻을 수 있다.
Collection.sort() vs. Arrays.sort() 메모리 사용량 및 속도 비교
- 메모리 사용량
- Collections.sort() : Collections.sort()는 내부적으로 List를 배열로 변환한 후, Arrays.sort()를 사용해서 정렬한다. 이 과정에서 추가적인 Boxing 및 메모리 할당이 필요하기 때문에 배열보다 많은 메모리를 소모한다.
- Arrays.sort() : 배열을 직접 정렬하는 메서드로, 이미 배열이 메모리에 존재하고 있기 때문에 추가적인 메모리 할당이 필요하지 않다.
- 속도
- Collections.sort() : 메모리 사용량과 마찬가지로 List를 배열로 변환한 후, Arrays.sort()를 사용해서 정렬하는 과정에서 바로 Arrays.sort()를 호출하는 것보다 추가 시간이 걸린다.
Counting Sort를 이용한다면
Arrays.sort()로도 백준 문제는 통과가 가능하지만 라이브러리를 사용하지 않고 풀어보고 싶었다. 처음에는 퀵 정렬을 이용해서 풀어보려 했는데, 퀵 정렬로 풀지 않고 Counting sort를 이용해서 풀도록 유도하는 문제라는 조언을 보고 Counting sort를 사용해보기로 했다.
- Counting sort란? :
숫자의 크기 대신 빈도(카운트)에 기반하여 정렬하는 알고리즘이다. 특정 범위 내의 정수 데이터를 정렬할 때 효과적이고 빠르다.
비교 기반 정렬 알고리즘이 아니며, O(N)의 시간 복잡도를 가진다. - 사용 조건 :
- 정수 값만 존재해야 한다(소수점, 문자열 X)
- 범위가 제한적이어야 한다. (ex. 0~10,000 같은 작은 범위에서 효율적이다.)
- 데이터가 많지만 값의 범위가 적을 때 적합하다. (ex. 0~10,000범위 내의 수가 10,000,000개 있을 때)
- 주어진 데이터의 최대값과 최소값 범위를 알아야 한다.
- 사용법 :
- 카운트 배열 생성 : 각 숫자의 빈도수를 저장하는 배열을 만든다. 배열의 크기는 데이터의 최댓값 + 1로 설정한다.
- 출력 배열에 값 저장 : 입력 데이터를 순회하면서 숫자의 위치를 계산하여 정렬된 결과 배열에 저장한다.
- 결과 반환 : 정렬된 데이터를 출력하거나 반환한다.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32
33
34
35
36
37
38
39
40
41
42import java.io.*; import java.util.Arrays; public class solve10989_re { /* - 문제 분석 : - N개의 수가 주어졌을 때 이를 오름차순으로 정렬하는 프로그램을 작성하시오. - 풀이 전략 : - 원래 ArrayList와 Collection.sort()를 이용해서 구현했었는데, 메모리 초과가 떴다. - 이 문제에서는 데이터의 크기가 미리 주어지므로 배열을 통해 구현이 가능하고, - 배열은 고정 크기의 메모리만 사용하므로 메모리 사용량을 줄일 수 있다. - 그래서 리스트를 배열로 바꾸고, Collection 대신 Arrays에서 sort()했더니 통과함. - Array.sort()보다 효과적인 Counting sort 방식으로도 풀어보았다. */ public static void main(String[] args) throws IOException { BufferedReader br = new BufferedReader(new InputStreamReader(System.in)); BufferedWriter bw = new BufferedWriter(new OutputStreamWriter(System.out)); // 여기서는 Counting sort를 사용해서 풀어본다. int count = Integer.parseInt(br.readLine()); int[] list = new int[10001]; //숫자의 범위는 1~10,000 //1. 입력 숫자를 카운트 배열에 기록 for(int i=0;i<count;i++){ int num = Integer.parseInt(br.readLine()); list[num]++; } // 2. 카운트 배열을 순회하며 정렬된 결과 출력 for(int i=1;i<list.length;i++){ while (list[i]>0){ bw.write(i+" "); list[i]--; } } bw.flush(); bw.close(); } }
Arrays.sort() vs Counting Sort 비교
- 시간 복잡도
- Arrays.sort() :
- 내부적으로 Dual-Pivot Quicksort를 사용하고, 평균 O(N log N)의 시간 복잡도를 가진다.
- 최악의 경우(모든 데이터가 정렬된 상태)에도 O(N log N).
- 모든 정렬 가능한 데이터(정수, 실수, 객체)에 적합하다.
- Counting sort :
- 숫자의 범위가 K일 때 O(N+K)의 시간 복잡도를 가진다
- 데이터의 범위가 작을수록 더 빠르게 동작한다
- 비교 기반이 아니라, 정수 데이터에만 사용 가능
1. 메모리 사용 - Arrays.sort() :
- 입력 데이터를 정렬하기 위해 추가 메모리를 거의 사용하지 않음
- 단, 배열 크기가 크다면 메모리 사용량이 데이터 크기에 직접 비례
- Counting sort :
- 추가적으로 K 크기의 배열(카운트 배열)을 사용함
- 데이터 값의 범위가 클수록 메모리 사용량이 급격히 증가
- Arrays.sort() :
이 문제에서 Arrays.sort()와 Counting Sort 비교
1 |
|
풀이 난이도 자체는 어렵지 않았지만, 알고리즘 문제를 해결 할 때 단순히 결과값이 일치하는 것뿐만 아니라 시간 복잡도와 메모리 사용량을 고려해서 최적의 방법을 찾는 게 중요하다는 걸 새삼 생각하게 되는 문제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