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S6 템플릿 리터럴 문법이란
`(백틱) 사이에 내용을 넣는 방식이다.
1 |
|
`(백틱) 사이에 내용을 넣는 방식이다.
1 |
|
회사에서 일을 하면서 가끔 써드 파티라는 말을 듣게 되는데, 완전히 다른 프로젝트에서도 심심찮게 이 단어가 나오자 대체 그게 뭔지 궁금해져서 알아보게 되었다.
자바에서 기본적으로 제공해주는 정렬 함수로, 배열이나 리스트를 정렬
할 때 사용해. 따로 정렬 로직을 짜지 않아도 메소드 호출 한 번으로 오름차순 정렬
을 할 수 있어 유용해.
사용한 파일 및 폴더 구조는 다음과 같다(파란색으로 표시되어 있는 파일들만 이번 단계에서 사용한 파일들이다). Thymeleaf를 사용하여 뷰 페이지를 구현했기 때문에 jsp가 아니라 html로 작성되었지만, 사용하는 문법은 똑같다.
좋은 건물을 짓기 위해서는 구조를 탄탄하게 설계해둬야 하는 것처럼, 프로그램을 개발할 때에도 사용되는 자료를 어떤 구조로 관리 할 것인지가 중요해. 그래야 프로그램의 기능을 보다 효율적이고 효과적으로 구현할 수 있거든. 이 때 사용하는 것이 자료구조
인데, 필요한 자료구조를 자바에서 미리 구현하여 제공하는 것을 컬렉션 프레임워크
라고 해.
데이터 조작어(Data Manipulation Language)의 약어로, SELECT, INSERT, UPDATE, DELETE
명령어가 DML에 해당합니다.
종류 | 사용법 | 예시 |
---|---|---|
변수 표현 | ${…} | ${session.user} |
선택자 | *{…} | *{firstName} |
메시지 | #{…} | #{message} |
링크 | @{…} | @{abbo.tistory.com} |
표현식은 기본적으로 th:[속성]="전달받은 값 또는 조건식"
의 형태로 표현됩니다.
종류 | 사용법 | 설명 |
---|---|---|
Text | <span th:text="${name}"></span> |
서버에서 받아온 값을 html 텍스트로 렌더링 |
Value | th:value=${name} | input이나 select, button등의 태그 값에 서버에서 받은 값을 렌더링 |
errors | ` <li th:errors="*{id}" />` | 해당 값에 error가 있는 경우 출력한다. |
with | <div th:with="var1=${user.name}+' is user name'" th:text="${var1}"></div> |
변수값을 지정해서 사용한다. |
meta태그는 이름에서 유추할 수 있듯이 metadata(정보에 대한 정보)를 제공합니다. 즉, 해당 사이트에 대한 정보를 주는 역할을 합니다. 화면에는 따로 표시되는 것이 없지만, 검색 엔진이나 브라우저 등에 읽히기 때문에 검색 최적화를 위해서는 반드시 해 주는 것이 좋습니다.
이런 식으로, 사이트 검색 시 타이틀이나 소개 등에 원하는 문구가 노출되도록 설정 할 수 있습니다. SNS 등에서 사이트 링크를 공유할 때 보이는 썸네일 이미지도 지정 할 수 있어요.
메타태그는 name과 content가 쌍으로 사용되는 경우가 많습니다.
스태틱은 ‘고정된’ 이라는 뜻을 가지고 있어. 각 인스턴스마다 따로 생성되는 변수가 아니라, 클래스 전반에서 공통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기준 변수(와 메서드)를 말하지. 얘네는 Static변수(정적 변수), Static 메서드라고 해.